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KQTi/btriB0uKDX9/2LdLbkDu7xKaWdnRJfs4G1/img.jpg)
https://gmoon92.github.io/ahea/2019/06/25/ahea-2019-conference.html 개발자로서 첫 Conference 발표 Moon gmoon92.github.io 사실 이 컨퍼런스 및 블로그의 내용을 보고 정리한 내용이다. 내 포스팅은 많은 부분이 생략되어 있으니 이 포스팅을 직접보는 것을 권장한다. 간단하게 원리정도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막상 깊이있게 공부하고자 하니 정말 세련되고 어려운 기술이다. 나도 아직 위 블로그의 글을 전부 이해하진 못했다... 이해한 부분에 대해서만 우선적으로 포스팅을 남긴다. 출처 : https://gmoon92.github.io/ahea/2019/06/25/ahea-2019-conference.html
Dependency org.springframework.boot spring-boot-starter-data-r2dbc io.r2dbc r2dbc-h2 runtime com.h2database h2 runtime Spring Data R2DBC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2dbc-spi, r2dbc-pool, spring-data-r2dbc 의 의존성이 필요한데 spring-boot-starter-data-r2dbc 의존성 하나를 추가하면 이 모든 의존성을 한번에 추가해준다. 그리고 H2 Database 를 사용하기 위해서 관련 의존성을 추가해준다. Configuration @Configuration @EnableR2dbcRepositories public class R2dbcConfig extends Ab..
사실상 Spring Data 에서 제공해주는 Repository 를 이용하거나 R2dbcEntityTemplate 을 이용하는 방법중에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. Repository 를 이용하면 Spring Data 의 기술인 EntityCallback, CustomConverter 등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. ID 필드에 Auto Increment 옵션을 주지 않았을 때 Repository 방식에서 Insert 가 안되는 문제가 있다. public Mono saveSchedule(int year, int month, int body) { return scheduleRepository.save(new Schedule(pk++, year, month, body)) .map(ScheduleDto::o..